본문 바로가기
어르신 생활꿀팁

"받고도 못 쓰면 손해! 소비쿠폰 사용처 바로 확인"

by 라이터55 2025. 7. 12.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받았는데, 어디서 써야 하는지 몰라서 그냥 두시는 어르신들도 계시죠?
2025년 기준으로 각 지자체에서 지급하는 소비지원금은 전통시장, 약국, 대중교통, 마트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요.
하지만 지역마다 사용 가능한 곳이 조금씩 다르고, 쿠폰 종류에 따라 차이도 있기 때문에 헷갈리기 쉬워요.
이 글에서는 서울, 경기, 광주, 대전 등 주요 지역별로 어디서 사용 가능한지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사용처를 잘 알면, 쿠폰을 생활비처럼 쓸 수 있으니 꼭 끝까지 읽고 실천해 보세요.

가맹점 찾는 방법 표시한 카드뉴스핸드폰으로 가맹점 찾는 어르신
가맹점 찾는 방법 카드뉴스 및 이미지 구현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왜 지역마다 다를까요?
많은 분들이 소비쿠폰을 ‘정부에서 전 국민에게 일괄 지급하는 정책’으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각 지자체(시청·구청 등)가 자체 예산으로 운영하는 지역 단위 사업이에요.

때문에 사용 가능한 가게도 지자체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죠.
그래서 꼭 본인이 받은 쿠폰이 어디에서 쓸 수 있는지 주민센터나 안내문, 또는 앱으로 먼저 확인하시고 사용하세요.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사용가능한 곳과 사용불가한 곳을 말씀해 드릴게요.

 

1. 전통시장 & 소형마트

사용가능 한 곳

-반찬가게, 식자재 판매점. 의류·속옷 가게, 생선/정육점, 방앗간, 제과점 미니슈퍼

예) 남대문 시장, 신중앙시장, 구로시장, 송정시장 등, ○○식자재할인마트, ○○우리 마트, ○○슈퍼 등

 

2. 약국
사용 가능 (일반의약품, 건강보조제 등)
단, 처방전 조제 시에는 일부 제한 있을 수 있음
예) 온누리약국, 동네 개인 약국 등
단, 대형병원 내부 약국은 가맹 안 된 경우 많으니 방문 전 꼭 확인하세요.

 

 3. 대중교통 관련
사용 가능한 곳 (지역화폐 카드형에 한함)
버스, 지하철 교통카드 충전소
그리고 편의점 교통카드 충전 가능 지점이 있음.

예) 서울: T-money 충전소, 경기: 캐시비 충전 편의점 (CU, GS25 중 일부 가맹점)

편의점도 일부 가명점에 한하니 방문 전 꼭 확인하세요.

 

4. 이·미용 업종
사용 가능한 곳: 동네 미용실, 이발소, 네일숍 (일부 지역)
예) ○○미용실, ○○이발관, 지역 내 소상공인 헤어숍
단, 대형 프랜차이즈 뷰티숍 (예: 이철헤어커커, 박승철 등) 대부분 사용 불가

 

5. 농·축산물 판매점
 사용 가능한 곳: 동네 정육점, 채소·청과물 매장, 로컬푸드 직매장
예) 하나로마트 (지방 농협 계열 매장 중심), ○○농산물도매센터, ○○우리 농장 직판장

6. 생활잡화 및 생필품
사용 가능한 곳: 비누, 세제 등 생활용품점, 문구점, 동네 철물점, 주방용품 전문점
예) ○○철물마트, ○○문구사, ○○잡화점

 

7. 편의점 (일부)
사용 가능한 곳: 지역화폐 가맹 등록된 점포만, 본사 직영점이나 미등록 매장은 사용 불가
예) GS25 ○○동점, CU ○○시장점 (앱에서 가맹점 확인 필수)

편의점 이용전 꿀팁! 편의점 점주에게 "지역화폐 결제 가능한가요?" 직접 물어보는 보는 게 가장 좋음.

단, 일부 점포는 등록만 되어 있고 시스템이 비활성화된 경우도 있으니 물건 결제 전 편의점 점주에게 물어보세요.

 

지역 앱 명칭 편의점 가맹점 확인 기능

서울 서울페이+ https://seoulpayplus.kr O (가맹점 찾기 메뉴), 업종에서 편의점
경기 경기지역화폐 https://www.gmoney.or.kr O (내 주변 + 업종 편의점 검색) 
인천 인천e음 https://www.incheoneum.kr O (메뉴+가맹점 찾기+업좀에서 편의점검색)
대전 등 온통대전 외 지역 앱 O (앱접속+가맹점찾기 or  내 주변 사용처+편의점 or  생활편의업종 검색)


 8. 기타 업종 (지자체 별도 허용)
안경점 / 보청기 판매점, 동네 분식집, 식당, 세탁소 (일부 지역), 어린이집, 학원 (특정 바우처의 경우)
예) ○○안경원, ○○김밥천국, ○○분식, ○○세탁소

 9. 사용 불가 업종 (전국 공통 기준)
대형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백화점(신세계, 현대 등)
대기업 프랜차이즈 카페(스타벅스, 투썸 등), 온라인 쇼핑몰(쿠팡, G마켓, 네이버스토어 등)

유흥업소, 룸살롱, 카지노, 노래방, 복권판매점, 금·귀금속 전문점

10. 사용처 확인하는 방법
지역화폐 앱 접속 후 ‘내 주변 가맹점’ 또는 ‘사용처 찾기’ 메뉴 클릭, 가맹점 이름 검색 또는 주소 입력 후
사용 가능 여부 확인 후 방문하세요.

업종 사용 가능 여부 비고

전통시장 가능 대부분 지역 허용
약국 가능 처방약은 지역별 제한
미용실/이발소 가능 대형 프랜차이즈 제외
편의점 일부 가능 가맹 등록점만
대형마트 불가 전국 공통 제한
온라인몰 불가 전자상거래 불가
교통카드 가능 카드형 지역화폐만 가능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이 유용했다면 하트(♡) 꾹! 눌러주세요. 

반응형